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중일 팥 품종개량, 유전자 분석으로 재배화 과정 밝혀-마이올생약애

by 마이올 생약애 2024. 3. 14.
반응형

원산 팥 유전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품종 개량 활용 기대

 

농촌진흥청에서는 한국·중국·일본 원산의 팥 유전자원 366개체를 분석하여 각국이 선호하는 주요 농업 형질을 확인했습니다. 팥은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오랫동안 재배된 작물로, 현재 전 세계 팥 생산량의 90% 이상을 동북아 3개국에서 재배하고 있습니다.

분석 결과 한국에서는 종자 크기가 큰 팥 유전자원을 선호했고, 중국은 개체당 꼬투리 수가 많은 유전자원, 일본은 꼬투리당 종자 수가 많은 유전자원을 각각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품종 개량 또한 이러한 방향으로 이루어져 왔던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한‧중‧일 팥 유전자원의 농업 형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농업유전자원서비스시스템 ‘씨앗은행’ 누리집(genebank.rda.go.kr)에서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농업유전자원서비스시스템이란?

요즘 세계적으로 산업화와 환경 변화로 인해 생물다양성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생물유전자원의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농업유전자원은 식량과 의약품, 생명공학 산업의 기초 재료로 무한한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세계식량농업기구를 비롯한 국제기구와 자원 보유국, 자원 도입국 간에 농업유전자원에 대한 지식재산권과 이익 분배를 두고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러한 가운데 농촌진흥청은 국가 차원에서 농업유전자원을 효과적으로 보존하고 관리, 활용하기 위해 농업유전자원 서비스시스템 종합포털을 개발했습니다. 기존에는 식물, 미생물, 곤충 등 분야별로 서비스가 나뉘어 있었지만 이를 통합한 것이 바로 이 종합포털입니다.
이를 통해 농촌진흥청과 지방기관, 대학 등에서 보유 중인 식물, 미생물, 곤충 농업유전자원 정보를 종합적이고 효율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자원 활용도를 높이고자 합니다.
농업유전자원 서비스시스템은 대한민국의 농업유전자원 정보종합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전략을 세우고 있습니다.

농업생명자원 국가관리체계 확립 및 종합정보 제공 체계 구축 마이올 생약애


나라별로 선호하는 유전자원의 특징이 달랐으며, 유전정보를 비교해보면 우리나라 원산 팥은 종자 크기, 중국 원산은 개체당 꼬투리 수, 일본 원산은 꼬투리당 종자 수와 관련된 유전적 다양성이 다른 나라에 비해 현저히 낮았습니다. 이를 통해 오래전부터 그 나라에서 선호하던 농업 형질에 따라 반복적인 개체 선발이 이뤄져 해당 유전 형질이 고정되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한·중·일 팥 유전자원의 주요 농업 형질 분포 비교 마이올 생약애

팥의 농업 형질은 수확량 및 지역별 재배 환경 적응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특히 한국 원산 팥은 개량을 거치며 수확량이 많은 유전적 특성을 갖추게 되어 중요한 품종 개량 재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중일 팥 유전자원의 농업 형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농업유전자원서비스시스템 '씨앗은행' 누리집에서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향후 농촌진흥청에서는 수확량 높은 팥 품종 개발과 재배 환경 적응성 강화 육종 연구 등에 이번 연구 결과를 적극 활용할 계획입니다.

국가별 대표 형질 우수유전자원 마이올 생약애

 

 

남도투데이

반응형